top of page

감 만 지 Gammanzi

117035231_120616369466338_14263737859403

2019 홍익대학교 판화과 대학원 재학 중

2019 추계예술대학교 판화과 졸업

개인전

2020 Something to smile about (BGN갤러리)

2020 감나무 할배 (유중아트센터)

 

단체전

2021 Summer night (마린테크)

2021 청년작가 미술장터 '소풍' (갤러리702)

​2021 감만지・이성준 작가의 특별한 행운 (정수아트센터)

2020 故김대중 대통령 서거11주기 드로잉展 (정수아트센터) 

2020 예술, 생활에 들다 (정수아트센터) 

2020 For Your Turn (갤러리엘르)

2018 청년작가전 (거제 문화예술회관)
2017 인: 새기다, 한국현대판화가 협회전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아트페어

2020 브리즈아트페어 (노들섬)

2019 ASYAFF (DDP)

2017 ASYAAF (DDP)

2016 ASYAAF & Hidden Artists Festival (DDP)

수상

2019 브리즈아트페어 아티스트상 NEW부문 아티스트상
2019 제8회 유중 신진작가 공모 장려상 (유중아트센터)

2018 대한민국 여성미술대전 동상 (한국미술관)

2017 한국 현대 판화가 협회 공모전 이상욱상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 Tap and show more information.

평론

감만지가 만나는 사람들

화가로서 낯선 세상에 서야하는 젊은이의 감성은 불안과 초조가 절반이다. 누구나 그러하듯 그들에게 세상은 낯설고 어색하기 그지없다. 점차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낯섦이 습관이 될 때 즈음 어른이 되고 기성세대가 된다. 젊은 화가 감만지의 세상은 자신의 가족을 타인으로 보면서부터 출발한다. 가족을 외면하는 것이 아니라 가족을 가족으로서 바로보지만 그 또한 세상의 일부로 인정하는 예술가적 기질에서의 시작점이다.
그녀는 자신의 작품에 대해 “인간에 대한 끝임 없는 고찰과 관음증적 태도로 세상을 바라보고 나만의 유머코드를 입힌다. 모든 감정은 사랑으로 합쳐진다. 정리되지 않은 기억과 상상력으로 내 그리는 세상 속으로 초대한다. 삶의 끝자락 닿아 있음을 예고하듯 노인들의 불완전한 육체, 이것은 나의 작품의 주요 주제가 된다. 어느 누구도 늙음 부터 시작하지 않기에 낯설 수밖에 없다. 노인의 초상의 주인공이었던 할아버지가 세상을 떠나고 나는 그가 나에게 남기고 간 것들에 집중하게 됐다. 그것은 바로 세상을 바라보는 눈과 그것을 어떻게 반응하는 가에 대한 고민이다.”고 했다.
작품들은 어떤 상황을 묘사하기보다는 궁금증 자체를 이야기 한다. 엿보기나 관음증과 같은 바라봄의 이미지이지만 바라보는 것 자체와 숨겨진 인물(칸막이 뒤로 슬며시 보이는 엉덩이)의 관계성을 유지하면서 누가 살고 있는가의 ‘누가’가 아니라 ‘그냥 궁금함’의 그림이다. 이러한 본연의 자체는 사람이 사는 모습이 아니라 그곳에서 발생된 이야기에서 시작된다. 일하고 있는 여인 뒤로 다양한 인물들이 그려져 있다. 실제로 일어날 수 있는 일들을 희화(戱畵)시킨 모양새다. 약간의 야스러운 관경을 바라보는 사람들의 표정을 바라보는 화가의 입장으로 그려져 있다. 특별히 무엇을 위한 목적은 없지만 일상에서 발견되는 이야기들을 그림으로 찾아간다. 그러한 상황을 연출하지 않았음에도 그러한 일상이 존재하는 듯, 사실이 아님에도 사실처럼 느껴지는 이야기가 있다. 기억이나 추억에 대한 이미지 만들기가 아니라 기억하고 있는 상황 자체에 대한 회화적 이미지 제작이다.
사람들을 바라보는 입장에서 벗어나 그들의 상태에 접근하여 이해한다. 세상을 살아가는 방식과 방법, 거기에 일어나는 다양한 생각과 사건들을 접하는 삶속에서의 한 순간을 포착한다. 인물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인물이 처한 상태의 개념이나 감정을 보이게 한다. 자체에 대한 이야기 이거나 상태에 대한 감정을 시각화 하는 이미지들이 감만지의 매력이 된다. 모양을 재현하하기 보다는 술렁거리고 소란스러움을 표현해 내는 회화적 영역이다.

- 글 : 박정수 (정수아트센터 관장, 미술평론)

Art critic (Written by Park Jeongsu)

The People Gammanzi Meets

The minds of the young stepping into the unfamiliar society as an artist is half filled with anxiety and nervousness. To them the world is rather awkward and foreign much like it feels so to anybody else. As the unfamiliarity become the usual with age people turn into an adult and hence the old generation. The young artist Gammanzi’s world begins by looking at her own family as strangers. No, it is not like she is shunning them – It is a starting point of an artistic disposition that considers her family to be a part of the world whilst being her own. Gammanzi describes her art this way: “I adorn my endless contemplative and voyeuristic approach to the humanity with humour. Every emotion comes together with love. I invite people to my portrayed world with untidied memories and imaginations. The old’s incomplete bodies seemingly hinting their contact with their life’s edge is the usual subject of my works. Nobody starts old – nothing can be familiar from the get-go. I started focusing on what my grandfather who was a model of my portrait of the old left behind after he passed away. See, it is my meditation on how to see and react to the world.” Her pieces are about curiosity itself, not descriptions of certain situations. It is a peeping imagery of things or people semi-hidden behind something portraying the idea of ‘pure and simple curiosity’. These inborn illustrations originate not from the way people live but stories sprouted from where the people live. Various people are drawn behind a working woman. The piece is drawn in the perspective of an artist looking at the people’s faces watching a rather suggestive scene. It is a caricature of an event that could happen. She finds her way to plausible stories without much of a purpose. There are stories that feel real even when it is not and seems to be happening even without anyone staging the situation. Her caricatural depiction is about events itself she remembers, not about (re)creating the memories. Gammanzi understands and puts herself in the shoes of the people looking at other people, free from the perspective of a singular observer. She captures a moment in life where all kinds of ways of living from which colourful ideas and events sprout. The charm of Gammanzi’s work is her ways of visualising the emotion and the concept of situations individuals face and how it catches the stirred up fuss rather than recreating it.

bottom of page